티스토리 뷰
2️⃣.다빈도 처방 약품
① 소화성 궤양 용제
[histamin 과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H2 수용체 차단제]
- CIMETIDINE ex) 타가메트정, 시메티딘정
- FAMOTIDINE ex) 가스터정, 파모티딘정
- RANITIDINE ex) 가스티딘정
- NIZATIDINE ex) 니자티드정
- LAFUTIDINE ex) 스토가정
- ROXATIDINE ex) 록산캡슐
[PPI: K은 세포내로 보내고, H는 위장으로 보내 위산 분비 억제- 식전 30분 전 복용]
- Dexlansoprazole ex) 덱실란트디알캡슐
- llaprazole ex) 놀텍정
- lansoprazole ex) 란스톤캡슐, 라노졸정
- omeprazole ex) 오프졸캡슐
- esomeprazole ex) 넥시움정, 앤티시움정
- pantoprazole ex) 판토록정, 펩타졸정
- rabeprazole ex) 라비엠정
- revaprazan ex) 레바넥스정
[제산제 : H2 수용체 차단제와 PPI 1차적으로 사용 하고, 일시적 중재를 위해 2차적으로 사용]
: Mg 제제는 설사를 유발하고, AI 제제는 변비를 유발할 수 있음
- Magnesium ex) 마그밀정
- Aluminium ex) 암포겔정
- NaHCO3 ex) 타스타정, 카보시드정
- Calcium ex) 씨씨본정, 에디정
- Almagate ex) 알마겔정
- Diomagnite ex) 디올겔현탁액
★ “ H2 수용체 차단제 + 제산제 ” + PPI + 제산제 ” 만 가능
▷ H2 수용체 차단제 + PPI 는 야간 산 과다분비 증상 유발 위험이 크므로,
PPI 제제 투여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만 사용
[프로스타글란딘 유사제 : 위점막 혈관을 확장지켜 위점액 양 증가 & 위점막 조직 재생을 도움]
: GYN에서 자궁수축 목적으로 처방나기도 함.
: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므로 저혈압 및 설사/ 복통 위험 주의!
- Misoprostol ex) 가스텍정, 싸이토텍정
[점막혈류 촉진제 : 혈관 수축을 억제함으로서 위 점액양을 늘리고 위 점막 세포 성장 촉진]
★보통 임상에서 NASAIDs 와 함께 처방 나는 소화성궤양치료제
- Rebamipide ex) 무코스타정
- Teprenone ex) 테나시드캡슐, 셀벡스캡슐
- 아푸라스정, 노엑캡슐
[점막보호제 :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촉진 및 염증 반응 억제]
- sodium alginate : 식전 복용 ex) 라미나지액
- ecabet sodium ex) 가베트정, 가스트렉스과립
- irsoglandine maleate ex) 가스론앤정, 이소딘정
- polaprezinc ex) 프로맥정, 베아맥정
[점막 피복제 : 손상된 궤양부위의 보호막 형성]
: 식전 및 취침 전 복용
- 아루사민맥, 아루사민정, 데놀정
②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
[IBD : INFLAMMATORY BOWEL DISESSE]
※IBD =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
▷ 궤양성 대장염 Ulcreativw colitis
-> 대장에 염증 및 궤양이 생겨 혈액성 설사와 복부 경련 및 열이 재발하는 영증성 장질환 (유병 기간이 길어지면 대장암 위험 大)
▷ 크론병 crohn’s disesse
-> 위장관 전체 (구강~항문) 에 만성 염증이 생겨 설사와 복부경련 및 열이 재발하며 식용부진, 체중감소가 있는 염증성 장질환
[5-ASA : 염증감소효과 – 광범위 대장염에 주로 사용]
ex) 콜라잘 캡슐 –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만 사용
아사콜 – 회장~대장에 작용
펜타사 – 소장~대장에 작용
★ 신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 전/ 후 Cr 수치 확인
★ 궤양성 직장염에는 좌약과 관장액 먼저 사용 후 투약
[면역조절제 : 5-ASA 및 스테로이드제제 사용 불가한 경우 사용]
ex) 아자프린정, 이뮤란정, 이무테라정
[생물학적 제제
: 다른 약물에 효과가 엾을 때 TNF ▷ Intergin 순으로 사용]
- TNF
ex) 레미케이드주, 램시마주, 휴미라주, 심퍼니주
ーIntergin
ex) 중증도 ~중증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에 사용
③ 간장제
※ 간 질환
▷ 간염
ex) 알콜성 간염, A/B/C/D/E간염, 약물에 의한 독성 간염, 면역체계 이상에 의한 자가면역성 간염
▷ 간경화 LC (= Liver Cirrhosis)
염증으로 섬유화된 간의 기능이 떨어진 것
▷ 간암 = 간염과 간경화로 간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며 발생
※ AST/ ALT 주기적으로 f/u
-> ex) 레가론캡슐, 타치온정, 디디비캡슐, 칸택스정, 알코텔정, 헤파멜즈
-> 간장제 복합제 ex) 고덱스캡슐, 펜넬캡슐, 유비펜캡슐
※ B형 간염 (hepatitis B)
▶ 6개월 이상 지속시, CHB (만성 B형 간염)
-> HBeAg 양성 여부와 HBV-DNA 및 AST & ALT 수치로 초기치료 결정함
ex) 바라크드정, 카비어정, 비리어드정, 테노바정, 베시보정, 제픽스정, 라미픽스정, 세비보정, 아포리바정, 레보비르정
※ C형 간염 (hepatitis C)
▶ 6개월 이상 지속시, CHC (만성 C형 간염)
-> Anti HCV Ab (positive) 나오고, HCV RNA (+)
ex) 엑스비라정, 소발디정, 순베프라캡슐, 다클린자정, 마비렌정, 제파티어정, 하보니정, 비키라정
※ B형 간염 (hepatitis B) C형 간염 (hepatitis C) 치료제
ex) 바이라미드캡슐, 페가시스프리필드
[이담제]
※ 담낭염 cholecytitis
= 담즙이 결정을 이루면서 돌처럼 단단해진 경우로 소화/ 흡수 불량해짐
-> UDCA : 담석 용해 ex) 우루사정
-> DHBE : 담즙 배출 촉진 (담석증에 사용) ex) 가레오액
-> CDCA : 담석 용해 (소화불량에 사용) ex) 씨앤유액
④ 췌장 질환 제제
※ 췌장염 pancreatitis
= 췌장 세포가 파괴되고, 췌장의 소화효소가 새어나가 염증이 발생되어 췌장액이 주위 조직을 녹임
▶ 만성췌장염 : 지방의 흡수장애로 지방변/ 내분비 기능 장애로 당뇨/ 상복부 통증/ 황달 증상 발현
- 급성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 투여
ex) 호이스타정, 우리스틴주, 후탄주
⑤ 신부전증 관련제제
※ 신부전 RF renal failure
= 신기능이 저하되어 형랙을 걸러내고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장애가 생겨 체내 노폐물이 쌓이면서 요독증/ 고칼륨혈증/ 고인산혈증 발생
▶ 체액 저류로 하지 부종이 발생하며, 말기에는 소변 생성 안 되므로 투석을 통해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내거나 신장이식 치료 필요
- 요독성 유발물질과 전구물질을 소화관 내 흡착하여 혈청 내 요독을 줄이고, 흡착한 물질과 함께 대변으로 배출하여 요독증상 개선
ex) 크레메진세립, 레나메진캡슐
- 고칼륨혈증 치료제 : 장관 내의 칼륨을 흡착하여 대변으로 배출
ex) 카리메트산, 아가메이트현탁액
- 고인산혈증치료제 : 인산염과 반응하여 소화관에서 흡수/ 축적되지 않게 함
ex)네프로정, 포스레놀정, 렌벨라정
⑥ 갑상선질환 치료제
※ 갑상선 thyroid gland
= T4, T3, 칼시토닌 (신진대사와 체온을 높여줌) 에 이상이 생기면,
(↓) 대사기능이 저하되어 추위에 민감하고, 피로감을 호소하며, 피부는 건조해지고, 심박수가 떨어짐.
+ 식욕은 저하되나 체중은 증가하고 몸이 붓게 됨
ex)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제
-> 씬지로이드정, 씬지록신정, 테트로닌정, 콤지로이드, 엘트릭스, : 1일 1회 공복에 투여
(↑) 대사기능 항진되어 더위에 민감항\고 과하게 에너지가 소모되어 땀이 많이 나며 쉽게 흥분함
+ 심박수 발라지고, 식욕이 증가하나 체중은 감소하고 근력은 약해짐
ex)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제
-> 메티마졸정, 카멘정, 안티로이드정
⑦ 항혈전제
※ 혈전증 Trombosis
= 혈전색전증
=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면서 여러 합병증 유발
(동맥-혈전증 : 뇌졸중, 급성 심근경색증, 폐 혈전증)
(정맥 혈전증 : 뇌 정맥동 혈전증, 심부정맥 혈전증)
▷ 응급 수술/ 시술 여부와 관계 없이
약물 치료 (항응고제/ 혈전용해제) 시행함.
★ 수술, 내시경 시술, 발치 에는 출혈 위험 있으므로 항혈전제 hold
- 혈전증 예방 위해 hold된 po 대신 크렉산 투여하기도 함.
- 항응고제
ex) 응고인자 불활성화 (aPTT 검사 필요)
: 헤파린주, 크렉산주, 크녹산주, 시파린주, 프라그민주, 자이버주
ex) vitK 차단 (INR 2.0~3.5 범위 유지 주의)
: 와파린정, 쿠파린정
ex) 트롬빈 직접 작용 – 항응고
: 노바스탄하이주, 아가론주, 프라닥사캡슐
ex) 혈전생성 억제
: 자렐토정, 엘리퀴스정, 릭시아나, 아릭스트라주
- 혈전용해제
ex) 혈전의 구성성분인 피브린을 용해
: 유로키나제, 액티라제주
ex) 혈소판 응집 억제 (혈전 생성 억제)
: 아스피린, 플라빅스, 브릴란타정, 프레탈정, 실로탈정, 티그린캡슐, 유유크리드정, 에피언트정, 이부스트린정, 메스트린정, 아그라스타트주, 안플레이드정
⑧ 지혈제
※ 지혈 hemostasis
★ 객혈, 위장출혈 등으로 mix된 fluid 달고 있는 환자가 검사를 가는 경우, 지혈제 mix된 fluid유지 여부 part 확인!
- 섬유소 fibrin의 분해를 막아 지혈
ex) 에스빅스주, 블리탑스주, 트라넥삼산주, 도라사민캡슐
-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지혈
ex) 보트로파제주, 로미플레이트주, 레볼레이드캡슐
● 위장관 출혈 시, 점막에 보호막을 형성하는
소화성 궤양용제(라미나지액, 알지셀액 등)가 지혈제로 사용!
⑨ 근이완제
※ 근육통 malagia
▶ 근이완제가 근육의 수축 작용을 억제하여 근육통을 감소시킴
- 중추성 근이완제 (연축억제제)
: 현기증/ 어지러움/ 졸음 등의 중추신경 억제 side effect 주의!
ex) 바클란정, 타지리드정, 시클펜정, 메트몰주, 아로베스트정, 미오페닐정, 오페릴50 서방정, 메디놀주
- 근소포체 억제제(통증을 동반한 근육의 경련, 긴장 시 근육 이완 목적)
: 근력 약화/ 어지러움/ 졸음/ 피로/ 간 장애 side effect주의!
ex) 아노렉스캡슐
- 말초성 근이완제
(= 신경근육차단제 : 수술/ 마취 시 중환자 진정제)
ex) 아트라주, 석시콜린주, 님벡스주, 로큐메론주, 베카론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지혈제 > 에스빅스주, 블리탑스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중추성 근이완제 > 미오페닐정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말초성 근이완제 > 갈라민트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항구토제 > 나제아주, 알록트론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소화성궤양치료제 > 가스터주, 큐란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말초성 진해거담제 > 뮤테란주, 뮤코스텐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말초성 NSAIDs > 데오에스베리벤에프주
★ op 후 자주 사용하는 기타 약제
> 마로비엔에이주 (사지의 유연성 부종 및 종창 완화)
> 킨도라제정 (발목 수술 및 급성 염증성 부종 완화)
⑩ 골다공증 치료제
※ 골다공증 osteoporosis
= 골밀도 검사 (x-선 흡수계측법 DXA) 로 진단
- 골 흡수 억제제
[1세대] ex) 다이놀정
[2세대] ex) 포사맥스정 – 1회 1정 / 파노린주 – 월 1회
[Resedronate] ex) 오소넬정, 악토넬정 – 주 1회
[Zoledronic]
ex) 졸레드론산주 – 1~2년 1회
: 악성 종양의 과칼슘혈증에 대해 항암제로 사용 가능!
[3세대]
ex) 이바넬정, 본비바정 – 월 1회
본비바주 – 3개월마다 1회 (여성만)
[칼슘계열]
ex) 씨씨본정, 에디정, 탄산칼슘정
[비타민D계열]
ex) 알파본연질캡슐, 칼시본여질캡슐, 칼디올연진캡슐
[에스트로겐계열: 폐경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]
ex) 프레미나정, 에비스타정, 비비안트정
[단일클론항체]
ex) 프롤리아주 – 6개월마다 SQ inj
- 골 형성 촉진제
ex) 포스테오주, 테로사카트리지주 – 1일 1회 SQ inj,
테리본피하주 – 1주 1회 SQ inj (최대 24개월)
⑪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
※ 류마티스 관절염
= 관절 활막의 지속적인 염증반응이 특징인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 (자가면역질환)
ex) 오렌시아주, 올루미언트정, 스마이랍정, 악템라주, 유한메토트렉세이트정, 린버크서방정, 아라바정, 아레이정, 키미라정, 리마틸정, 할록신정, 조피린장용정
★ 골 관절염 VS 류마티스 관절염
● RF 류마티스인자
: 면역글로블린 IgG와 반응하는 자가항체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발견됨
● 항 CCP 항체
: 초기에 검출되어 류마티스 관절염 조기진단 및 치료평가, 예후평가에 사용
● ANA
: 면역글로불린에 속하며자기동종에 반응하는 특수 자가 항체로
자가면역질한의 혈청에서 발견됨
ex) SLE, RA, 교원병
※ K-L Grade (G 1~4)
: 방사선 사진상 관절 간격의 감소와 관절부위의 골극형성/ 연골소실의 이상소견을 나타내는 지표
※ 슬관절의 골 관절염
ex) 연골 주사제 (완충제, 윤활제 역할)
– 히루안플러스주
(1주에 1회 3주 연속 투여 후, 치료 효과가 있다면 6개월 후 재투여 고려)
- 시노비안주 (6개월 주기 투여)
ex) DNA주사제
- 콘큐란주
ex) 뼈 주사제 (스테로이드 주사제)
: 신경 손상이나 염증이 심한 경우 사용
⑫ 통풍 치료제
※ 통풍 Gout
= 고요산 혈증의 결과로 요산이 결정화되어 심한 통증과 급성통풍관절염 및 피하결절을 유발함
( 선천적인 퓨린 대사 장애
/ 혈액암 치료로 많은 세포가 한 번에 파괴된 경우
/ 등푸른 생선이나 내장류 등 퓨린 함유량이 높은 음식 과다 섭취
/ 신장 질환 or 아스피린. 이뇨제 복용
or 음주에 의한 요산 배설 저하 )
- 요산생성 억제제
ex) 자이로릭정 (혈액 세포 수 감소/ 발진 주의),
페브릭정 (간 기능 저하/ 발진/ 구역 주의)
- 요산 배설 촉진제
ex) 유리논정, 날카리신정
(간 기능 손상/ 위장장애/ 발진/ 가려움 주의)
- 통풍 발작 치료제
: 염증 반응에 의한 부종/ 발적/ 통증 조절 위해 NSAIDs와 steroid 같이 사용
ex) 콜킨정, 콜키닌정
(말초신경 장애/ 탈모/ 혈뇨/ 혈액 세포 수 감소 주의)
⑬ 헤르페스 치료제 / 대상포진 치료제
(항바이러스제)
※ 단순포진 herpes simplex
= HSV 에 감염되면 피부와 점막이 붉게 변하고, 군집을 이루는 작은 물집이 발생함
[1형] 입술, 각막, 얼굴 [2형] 성기 – 성접촉을 통해 전파 가능
- 병변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면 자연적으로 치유됨
(꼭 치료할 필요는 없음)
BUT, 병변이 오래 지속되고 증상과 합병증 동반 시
항바이러스제 치료 필요!
- Acyclovir
: 생식기 포함 피부 및 점막조직의 단순포진/ 대상포진/ 수두 치료에 사용
ex) 아시클로버정, 바크락스주
- valac cyclovir
: 단순포진/ 대상포진/ 수두 치료/ CMV 예방에 사용
ex) 발라클로정, 발시콜정
- ganciclovir
: AIDS 포함 면역장애환자/ CMV 감염 환자/ 이식 후 CMV 위험 잇는 환자 치료에 사용
ex) 버간점안액, 싸이메빈정주
- valganciclovir
: CMV 망막염 치료/ 이식 후 CMV 위험 잇는 환자 치료에 사용
ex) 발싸이트정, 비가비르정
※ 대상포진 Herpes zoster
= VZV (수두-대상포진 바이러스) 감염되면 잠복되어 있다가
면역력 저하 시, 심한 통증/ 감각 이상을 유발하며 물집이 사라진
후에도 통증 지속되는 증상 발현
: 항바이러스제 + 진통제 치료
ex) 아시클로버정, 발라클로정, 발시콜정, 팜크린정, 팜비어정, 푸리노신정, 콕사바시럽
● 대상포진 후 진통제 (가바페닌 계열 주로 사용)
ex) 뉴론팁 캡슐, 리리카캡슐
'공부하는 간호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신규 간호사] JP drain/Hemovac 수술 후 배액관 관리 (1) | 2023.12.27 |
---|---|
[신규간호사] 경피적 간담관 배액술(PTBD :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) (0) | 2023.12.27 |
[신규간호사] 경피적 농양 배액술(PAD :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) (1) | 2023.12.27 |
Chart training report 3️⃣ - CPR & E-CART (응급 약물) (1) | 2023.12.27 |
Chart training report 1️⃣ - 다빈도 사용 수액 (1) | 2023.12.27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#간호사 #신규간호사 #대학병원간호사 #경력직간호사 #입사 #이직 #취업성공 #퇴사 #탈임상 #임상 #내과간호사 #통합내과 #종양내과 #감염내과 #신장내과 #아홉수 #29살 #도전 #프리셉터 #ISFJ 와
- #간호사 #신규간호사 #간호학과 #대학병원 #간호공부 #차트트레이닝 #기본간호학 #성인간호학 #약리학 #국가고시 #간호학 #약 #소화성궤양용제 #영양제 #약종류 #인턴 #레지던트 #레포트 #과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